포럼취지
이 글은 믿음의 순도마저도 돈으로 측정되는 한국 교회의 ‘돈’에 대한 감수성에 관심한다. 여기에서 ‘돈’은 한국교회 공간에서 자본의 활동과 지배력이 강화되는 현상을 표상하는 ‘기호’이자 ‘상징’이다. 자본이나 경제가 아닌 ‘돈’에 주목하는 것은, 가시성과 역동성을 지닌 ‘돈’이야말로 일상의 미시적 차원까지 스며든 자본/경제의 힘을 포착하기에 유용한 표상이기 때문이다.
특히 소비자본주의시대 신앙인들의 돈에 대한 감수성을 형성하는 주요 장치인 ‘청부(淸富)론’과 ‘성부(聖富)론’에 주목한다. ‘돈’이 어떠한 고유한 신성성의 언어와 의례로 번역/번안되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담론이 형성· 유통된 사회적/교회적 맥락을 추적하며, 그 담론의 효과를 탐구한다. 요컨대 ‘돈’의 지배력을 공고화하는 교회의 내적논리와 외적장치를 탐색함으로써 ‘돈’의 논리에 침윤된 종교공간은 ‘돈’이 지배하는 사회를 정당화하고 지탱하는 주요한 장치임을 드러낸다.
번호
|
제목
|
닉네임
| ||
---|---|---|---|---|
290 | 제3시대 | 6675 | 2016.11.22 | |
289 | 제3시대 | 8476 | 2016.10.21 | |
288 | 제3시대 | 7823 | 2016.10.21 | |
287 | 제3시대 | 7000 | 2016.10.17 | |
286 | 제3시대 | 8381 | 2016.09.20 | |
285 | 제3시대 | 7332 | 2016.08.18 | |
284 | 제3시대 | 8395 | 2016.08.10 | |
283 | 제3시대 | 9506 | 2016.07.12 | |
282 | 제3시대 | 8314 | 2016.06.22 | |
281 | 제3시대 | 7710 | 2016.05.27 | |
280 | 제3시대 | 7415 | 2016.05.20 | |
279 | 제3시대 | 7115 | 2016.05.11 | |
√ | 제3시대 | 8395 | 2016.04.15 | |
277 | 제3시대 | 8220 | 2016.04.04 | |
276 | 제3시대 | 44860 | 2016.04.04 | |
275 | 제3시대 | 5792 | 2016.03.20 | |
274 | 제3시대 | 7199 | 2016.02.12 | |
273 | 제3시대 | 7038 | 2016.02.03 | |
272 | 제3시대 | 7943 | 2016.01.19 | |
271 | 제3시대 | 8599 | 2015.11.22 |